-
크릴오일 효능 부작용 추천health 2019. 6. 4. 17:22반응형
크릴오일 효능 부작용 추천
제가 즐겨보는 프로그램에서 크릴오일에 대해서 나왔었는데요. 크릴오일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크릴오일의 주원료는 청정해역인 남극해를 서식지로 삼고 있는 크릴새우입니다. 크릴새우는 크기가 매우 작아 중금속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며 우리 몸에 좋은 오메가-3가 크릴새우의 주성분입니다.
크릴오일 효능 1. 혈관 건강
남극해에 서식하고 있는 펭귄은 신기하게도 동맥경화 등의 혈관질환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몸 안의 지방 축적을 위해 먹는 크릴새우 덕분입니다. 크릴새우의 주성분인 오메가-3 지방산은 물에 잘 녹는 인지질 형태로 피시 오일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흡수율을 자랑합니다. 그 덕분에 몸에 발생할 수 있는 콜레스테롤과 염증을 제거하여 혈관 문제를 예방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크릴오일 효능 2. 신진대사 건강
호주에서 진행한 연구발표에 의하면 실험용 쥐에게 8주간 고지방 및 비만을 유발하는 식단을 먹이고 주기적으로 크릴오일 추출물을 투여했습니다. 그 결과, 실험용 쥐는 신진대사장애와 염증이 개선 뿐만 아니라 식욕억제 효과도 얻었다고 합니다. 즉, 크릴오일은 신진대사장애로 인한 당뇨병을 개선하고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크릴오일 효능 3. 체내 염증, 암 예방
크릴오일 속 풍부한 아스타잔틴 성분은 비타민E의 550배, 비타민C의 6000배 등의 항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성분의 항산화 효과는 일반 피시 오일에 비해 48배가 넘으며 이는 체내에 발생되는 염증을 예방 및 개선시켜줍니다.
크릴오일 효능 4. 치매예방
꾸준히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한 사람은 ‘인지 기능 저하 속도’가 훨씬 느리게 진행됩니다. 오메가-3는 치매의 주원인인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크릴오일 부작용
- 과다 섭취할 경우 혈액 응고가 되지 않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공복에 섭취할 경우 구토, 설사, 위경련,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갑각류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간지러움, 두드러기, 배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수유 중인 여성, 임산부, 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은 의사와 상담 후 섭취하여 부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크릴오일 추천
1. 인지질 함량이 높은 제품
크릴오일의 주 성분인 인지질은 체내의 지방을 녹이고 땀과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시킵니다. 기존의 다이어트 제품들이 지방세포의 크기만을 줄인다며 크릴오일의 인지질은 지방세포 자체를 파괴시켜 배출합니다. 다이어트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인지질 함량이 높은 제품으로 선택하면 좋습니다.
2. 선상 가공 제품
선상 가공이란 말 그대로 배 위에서 가공된 제품을 말합니다. 산패가 빠른 크릴오일은 잡은 즉시 가공해야 합니다. 선상 가공이 힘든 경우에는 크릴을 살충제나 방부제를 사용하여 냉동시킨 후 육지에서 가공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살충제와 방부제가 문제가 됩니다. 실제로 호주에서 크릴오일에 독극물로 분류되는 에톡시 퀸이 검출되어 전량 회수되었습니다. 즉, 살충제나 방부제의 유, 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화학용매를 쓰지 않은 제품 (=NCS 제품)
크릴오일의 추출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헥산이나 아세톤과 같은 화학용매를 이용하는 방법과 효소 추출같이 화학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당연히 화학용매를 쓰지 않은 제품이 좋습니다. 화학용매를 이용한 추출은 크릴오일에서 화학용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습니다. 화학용매로 쓰이는 헥산은 난소 장애를 일으키는 주범 중 하나이며 대뇌 축색돌기에 문제를 일으켜 대뇌 기증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급적 화학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제품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반응형'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싹보리 효능 부작용 분말 먹는방법 (0) 2019.06.05 붕어즙 효능 부작용 복용방법 (0) 2019.06.05 매스틱 효능 부작용 복용법 (0) 2019.06.04 시서스 분말 효능 다이어트 부작용 (0) 2019.06.04 헤마토코쿠스 분말 아스타잔틴 효능 (0) 2019.06.04